집을 소유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어르신들 또는 이제 그 요건에 충족되기에 미리 준비를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주택연금은 관심이 가는 금융상품입니다. 자신의 집을 담보로 국가 보증 연금을 수령 받는 제도인 것은 잘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만 60세 이상, 부부기준 1주택 원칙, 9억원 이하 주택에 해당하면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상담을 받고 보증신청을 한 후에 보증심사를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공사에서 금융기관 보증서를 발급해주고 신청인은 금융기관에 방문해 대출거래약정 체결 후 주택연금 대출을 실행하게 되죠.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http://www.hf.go.kr/)에 방문하면 주택연금 월 지급금 예시를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시기 기준을 업데이트해주기 때문에 이를 참고해보는 것도 좋습니다만, 홈페이지에 예상연금조회가 있습니다. 신청요건 및 주택가격 등을 고려해 예상 지급금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연금의 액수도 중요하지만 과연 주택연금이 자신에게 얼마나 혜택이 되는 지 그 장단점에 대한 부분이 많이 신경쓰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주택연금에 대한 장점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1. 평생거주&평생지급 - 가입자 및 배우자 거주 보장 및 사망 후에도 지급 보장
2. 국가가 연금지급 보증
3. 연금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해도 상속인에게 청구되지 않고, 반대로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감
4. 세제혜택
어떠한 혜택들이 있는 지 살펴보고 그것이 앞으로 노후에 얼마나 큰 이익으로 돌아올 지를 계산하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장점 공지 말고 단점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1. 초기보증료 납부에 따른 부담
2. 집값 상승에 따른 연금액 상승이 없다 = 집값이 높을 때 가입하는 것이 유리
3. 재개발이나 재건축시 연금을 해지해야한다
4. 기존 주택담보대출이 있으면 제약이있다
일단 가장 크게 거론되는 것이 초기보증료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초기보증료는 낮추되 연보증료는 일부만 조정해서 초기보증료 부담을 생애 전반에으로 분산 시길 것이라는 정부의 계획을 16년 초에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금이 어떤식으로 자신에게 활용이 될 것인지에 대한 계산을 통해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info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알고 챙기자 (0) | 2016.03.09 |
---|---|
군대 입대를 앞서서 준비해야할 군입대 준비물 알아보기 (0) | 2016.02.19 |
MLB 모자 세탁 도전! 세탁법과 모자주름 관리법 (0) | 2015.12.23 |
2016년 병신년 새해 휴일, 공휴일 미리 알아보기 (1) | 2015.12.23 |
나는 안구건조증일까?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하기 (0) | 201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