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서 청년 니트족이 증가한다는 소식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청년실업에 대한 문제와 취업난 등이 사회적 이슈입니다. 많은 청년들이 지금 이 시간에도 취업을 의해 공부하고 인턴을 하고 스펙을 쌓고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슈가 되는 키워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니트족'이라는 단어입니다. 뉴스에서도 니트족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다루고는 하는데, 과연 니트족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니트족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줄임말.
미혼이고 학교에 다니지 않으며 가사일도 하지 않는 15세에서 34세 사이의 취업인구를 뜻함.
즉 니트족은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으며, 미래에 일을 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와 같이 많이 나오는 표현이 '프리터족'인데, 프리터족은 취업이 아닌 알바를 통해 생활을 지속하는 부류로 니트족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일할 의지가 없다고 해서 단순히 그들의 잘못이라기보다는 활발히 취업을 해야할 친구들이 왜 의지를 상실하는지를 알아보는 게 먼저가 아닐까 싶습니다.
영국에서 먼저 생겨났고 일본에서도 사회적 문제가 되었던 니트족. 과거의 일본의 경제 사회 현상이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곤 하는데, 이 청년고용불안과 니트족의 증가도 분명 선례를 참고해서 경계해야할 문제입니다.
청년실업률이 계속해서 사회문제로 화두에 오르는 것에 대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으로서 그것을 어떻게 타계할 지 말할 능력은 안되지만, 청년들 절대 포기하지말고 힘내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info >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관리사2급 인강으로 독학 중(16년 1차시험) (0) | 2016.04.02 |
---|---|
2016 초중고졸 검정고시 일정과 기출문제 정보 (0) | 2016.03.24 |
2016 제42회 해외유학/어학연수 박람회 정보 살펴보기 (0) | 2016.03.24 |
대학 새내기들을 위한 대학생활 팁과 노하우 (0) | 2016.02.22 |
16학번 대학생 기숙사 준비물과 필수품 팁 (0) | 201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