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V review

바람의 빛깔 오연준과 위키드가 주는 매력

by FtwoN 2016. 2. 19.
반응형

엠넷에서 진행하는 창작동요대전인 위키드(We kid). 예고편에 모든 걸 쏟았다는 지적도 있지만 시작은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보이스코리아 키즈와는 도대체 무슨 차별점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동요라는 것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결국 비슷한 맥락으로 흘러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었죠. 물론 아직 방영 초기라서 어떻게 바뀔 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제주소년이라 소개된 오연준 군의 '바람의 빛깔'은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성대결절 회복 중이라는데도 어찌 그리 노래를 잘하는 지 정말 신기할 정도입니다. 위키드의 이슈의 중심에는 이 친구가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겠죠. 그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줬습니다.


사실 어린 아이들의 경연이나 TV출연은 '부모의 욕심'이라는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기가 쉽습니다. 그 편견을 깨고 보고 싶어도 그게 쉽게 되지 않죠. 어른들의 노래와 어쩌면 선정적인 안무를 따라하는 기존의 방송들이 많았기에 순수한 마음으로 바라보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키드는 단순히 어린이 대상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연령 오디션 프로그램과 큰 차이점이 있었습니다.


동요가 단순히 유치한 아이들의 노래라고 생각했던 것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될 정도였습니다. 그렇게 생각한 것은 바로 '들리는 가사'였습니다. 가사 자막 없이도 아이들의 노랫말이 그대로 들립니다. 이점이 그 어떤 오디션 프로그램보다 좋았습니다. 아니 가요프로그램보다 낫다고 할 수 있겠네요.


아이돌도 좋아하고 대중가요도 좋아합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가사가 전혀 안들립니다. 훅 부분에서 강조하는 메인 단어만 들릴 뿐 가사가 전혀 안들리는 곡들이 많아졌다고 느끼곤 했습니다. 분명 우리말 가사인데도 알아듣기 어려운 발음, 리듬에 맞게 그냥 뚝뚝 잘라버린 것같은 가사 흐름 때문에 요즘의 노래는 노래를 좋아해서 보기보단 그 가수를 좋아해서 듣는 느낌이었습니다. 물론 가사가 잘 들리는 가요도 많이 있지만요.


제주소년 오연준이 부른 '바람의 빛깔'이나 리틀효녀 최명빈이 부른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주고 싶어'는 왜 동요가 필요한 지를 알려주는 무대였습니다. 물론 위키드에서 기존의 프로그램들에서 봐왔던 아이들의 장기자랑을 답습할 지는 지켜봐야 알겠습니다만, 적어도 이 두 무대만으로도 사람들은 아이들의 노래와 동요의 매력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봅니다.


이미 큰 그림은 그려져있겠지만 위키드는 아이들이 가진 그대로의 것을 살리는 방향으로 제작이 되면 좋겠네요. 새로운 시도라는 명목하에 기존 가요 오디션의 클리셰가 재포장 된다면 굉장히 아쉬울 것 같습니다. 끝까지 아이들의 동심을 위한 창작동요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